다이빙人
-
[잡담] 개인적인 경험에 근거한 다이빙 유의사항 및 컴퓨터 선택하기다이빙人 /다이빙에 관련한 잡다한 이야기들 2012. 4. 13. 16:18
이번 주말 울진으로 다이빙을 갔다와서는 조금은 살인적인 스케쥴(?)로 인해 새벽에 집에 도착하자마자 곯아 떨어져서 오후때쯤 일어났습니다. 이번 울진투어.. 1달만에 다이빙을 해서 그런지 장비로 인해 개고생을 해서 무척 고생스러웠지만 그래도 경험삼아서 이런건 이래야 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약간의 조류와 너울로 인해서 제 몸 가누기도 힘든데 괜시리 체험해보겠다고 헬시온 윙 차고 들어가서 개고생도 해보고 보홀에서 잘 썼던 마스크를 쓰고 들어갔다가 자꾸 물이 주르륵 들어와서 물속에서 마스크교체하고(휴.. 그나마 이전에 쓰던 마스크를 챙겨갔기에 다행이었죠.. ) 드라이를 입어서 행동도 꿈떴고, 후두 착용에 낮은 수온으로 인해 첫다이빙을 할때 평소에 물이 들어오는 것보다 많은 차가운 물이 마스..
-
[장비] BCD 재질에 대한 짧은 지식다이빙人 /다이빙에 관련한 잡다한 이야기들 2012. 4. 13. 16:16
혼자 검색하다 써보니 반말투로 갑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스쿠바 장비에 대해 전문가도 아니고 그냥 개인적인 호기심에 검색하고 보다보니 자주 보게 되는 용어가 데니어이다. 롤가방이나 BCD를 보더라도 1680 데니어 나일론 어쩌고 저쩌고 쓰여 있는 경우가 많은데 하도 자주 보이니깐 머리속에서는 자연스럽게 '아 천 재질인가 보다' 라고 넘어갔는데 요근래 백윙을 자주 검색하다 보니깐 생긴 의문이 저 수치가 높으면 안전하고 좋은건가? 라는 것이었다. 하나 궁금하니 그냥 넘어갈 수는 없겠지.. 또 검색신공을 펼쳐서 데니어가 도대체 뭐하는 것인가를 찾아봤다. 이것저것 찾다보니 정보가 나오긴 하는데 섬유업종에 있지 않은 이상 너무 방대해서 항장식, 항중식, 필라멘트 등등 여러 용어들이 있지만 우리가 꼭 알만큼..
-
[교육] AI첫날 후기다이빙人 /다이빙에 관련한 잡다한 이야기들 2012. 4. 13. 11:58
2011년 7월 11일아침 10시에 수업이라는데... 몸은 알람소리를 듣고 8시에 기상.... 정신은 주말이라 그런지 9시 반 넘어서 깨더라... 부랴부랴 준비를 하고 센터로 고고... 늦게 시작 미안한 맘뿐... 장장 13시간 이어진 교육 하루 2끼를 센터에서 해결하며 열혈 강습 청취... 알지님 감기에 헤롱헤롱 시니컬 리는 웬일로 말똥말똥 가자님은 나중에 들어보니 결혼기념일이라신다.. 집에 가서 엄청 혼나시겠군... 잘 버티긴 했으나 오후때는 잠깐 졸고.. 프리젠테이션 쉽지 않더구만 속으로 그냥 강의를 하라면 하겠는데 라고 ㅋ 프리젠테이션에서 시간을 무지 잡아먹는다 저녁 먹을때 주CD님이 한 말이 생각난다 '이러다 집에서 쫓겨나는거 아냐? CD세미나 갔다 AI코스에다가 곧 사방까지 가면 애가 누구세요..